치매가 단순한 기억력 감퇴라고 생각하면 오산! 이건 시간이 지날수록 판단력, 감정, 행동까지 영향을 주는 무서운 병이다. 그런데 더 큰 문제? 돈이다. 치료비, 약값, 병원비, 간병비까지 합하면 한 달 몇십만 원, 몇 년 지나면 억 단위가 깨진다. 근데 정부에서 지원을 해준다는데? 안 받으면 손해다!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에 대해 확실하게 알려줄 테니, 끝까지 보고 꼭 신청하자.
누가 받을 수 있을까? 대상부터 확인!
이거 다 해당되면 무조건 지원 가능!
✅ 나이 - 만 60세 이상
✅ 진단 여부 - 병원에서 F00~F03, G30 코드 포함한 치매 진단 받아야 함
✅ 치료 중? - 치매 약을 현재 복용 중이어야 함
✅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기준)
🚨 이게 문제! - 60세 미만 젊은 치매 환자는 지원 불가😡
- 소득 조금만 높아도 탈락해서 애매한 사람 많음
- 약을 끊으면 지원도 끊김, 지속적인 치료가 부담될 수도 있음
얼마나 받을 수 있나? 지원 금액 체크!
솔직히 기대만큼 많이 주진 않음. 그래도 받으면 도움 되는 건 맞다.
💰 지원 내용
✔ 치매 약값 + 처방 당일 병원비 일부 지원
✔ 월 최대 3만 원, 연 최대 36만 원 (100% 다 해주는 건 아님)
❗ 이게 현실이다!
- 약값 & 병원비 생각하면 3만 원은 너무 부족함 🤦♂️
- 간병비, 요양시설 비용은 전혀 지원 안 됨
- 치매는 장기전인데, 지원 기간도 최대 3년이라 아쉬움
신청하려면 어디로 가야 해?
📌 신청 장소
- 전국 보건소 내 256개 치매안심센터 방문
📝 필요 서류 (미리 준비해야 함!)
✔ 신청서
✔ 병원에서 받은 치매 진단서 or 처방전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증 사본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신청 후 절차
1️⃣ 서류 준비 후 치매안심센터 방문
2️⃣ 시·군·구 심사 후 대상자 선정 여부 결정
3️⃣ 선정되면 매월 20일경 지원금 지급
🚨 불편한 점
- 아직도 온라인 신청 불가! 직접 가야 한다.
- 서류가 너무 많음. 고령자나 보호자가 뛰어다녀야 함.
- 자동 대상 선정 시스템 없음, 일일이 신청해야 하는 불편함.
이 사업, 뭐가 문제고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
지원해주는 건 고맙지만, 솔직히 부족한 점이 많다.
💡 더 지원해야 할 부분
✔ 치매 치료는 약값만 드는 게 아님! - 간병비, 요양원 비용, 재활치료비 등도 지원해야 현실적인 도움 됨
✔ 60세 미만 조기 치매 환자도 포함해야 함 - 젊은 나이에 치매 걸린 사람은 어디서 도움받나?
✔ 신청 절차 간소화 필요 - 온라인 신청 도입하면 보호자 부담 줄어듦
✔ 가족 지원 프로그램도 필요 - 치매는 가족도 힘들다. 간병 교육, 상담 지원도 필수
결론! 받을 수 있으면 무조건 신청!
이거 완벽한 제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있는 혜택은 챙기는 게 이득이다.
✔ 치매 환자가 있다면 무조건 신청하고
✔ 이 정보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알려주자! 치매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가족,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하는 병이다. 정부 지원이 부족한 부분은 개선 요구를 해야 하고, 지금 있는 혜택은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자!
'알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주거 걱정 끝! 2025년 LH 청년행복주택 가이드 (0) | 2025.02.06 |
---|---|
2025년 의료급여,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1) | 2025.02.05 |
2025년 국민취업지원제도, 무엇이 달라졌을까? 신청 방법 (0) | 2025.02.04 |
연말정산 어렵지 않아요! 홈택스로 간단히 끝내는 법 (0) | 2025.01.23 |
생활기록부 발급, 이렇게 간단할 수 있을까요? 정부24 활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