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정보

신혼부부 전세대출, 뭐가 다르고 어떻게 골라야 할까?

by 깔롱뷰 2025. 3. 24.

결혼 준비하다 보면 결국 도착하는 건 ‘집’ 이야기예요. 드레스 고르고, 스튜디오 정하고 다 좋지만, 결국 “우리 어디서 살까?”라는 질문이 남거든요.

집값은 계속 오르고, 전세는 부담되고, 월세는 아깝고... 이럴 때 가장 먼저 찾아보게 되는 게 신혼부부 전세대출이에요.

그런데 대출도 종류가 많고, 조건도 복잡해서 더 혼란스러워지죠. 신혼부부 전세대출 중에서는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랑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이 대표적인데, 이름도 비슷하고 설명도 헷갈려서 뭐가 다른 건지 감이 안 올 때가 많아요. 게다가 ‘디딤돌 대출’도 있다던데, 그건 또 뭐고... 이 글에서는 헷갈릴 수 있는 부분들을 아주 쉽게 풀어서 알려드릴게요.

 


 

버팀목 vs 신혼부부 전용 전세대출, 차이 아시나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두 대출 상품은 조건이 거의 같아요. 둘 다 신혼가구를 기준으로 하면

- 소득 조건

- 자산 조건

- 대출 한도

- 대출 기간

- 주택 면적 전부 동일해요.

 

 

단 하나 차이가 있다면 바로 금리예요!

신혼부부 전용 대출은 연 1.7%~3.1%, 버팀목은 연 2.3%~3.3%니까, 전용 상품이 이자 측면에선 살짝 더 유리하죠.

 

 

 

 


 

그럼 대출 조건은 어떤지 정리해볼게요

- 혼인기간 7년 이내 또는 결혼 예정자(3개월 이내)

- 부부합산 연소득 7,500만원 이하

- 순자산 3.37억원 이하

- 무주택 세대주 혹은 예비세대주

- 최초 2년, 연장 4회 가능 → 최장 10년 이용 하나라도 조건 안 맞으면 대출이 불가능하니까 미리 확인 필수예요.

 


 

대출 한도, 얼마나 빌릴 수 있을까?

- 수도권 최대 3억 원,

- 비수도권 최대 2억 원 전세금의 80% 이내로 대출이 가능하고, 갱신 계약이라면 증액된 금액 이내에서 전체 보증금의 80%까지 가능해요.

 


 

임차 주택 조건도 있어요

- 전용면적 85㎡ 이하 (읍·면 지역은 100㎡ 이하)

- 임차보증금은 수도권 4억원 이하, 그 외 지역은 3억원 이하

 


 

언제 어떻게 신청하냐고요?

- 잔금일 또는 전입일 중 빠른 날 기준 3개월 이내 신청 가능

- 갱신계약은 갱신일 기준 3개월 이내

- 기금e든든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고, 수탁은행(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부산, 대구) 지점 방문

 


 

필요한 서류는요?

- 주민등록증, 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 소득을 증명할 수 있는 원천징수영수증이나 소득금액증명원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종합소득세 신고서, 사업자등록증 등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어요.

 


 

집을 사려는 분은 디딤돌 대출도 있어요

 

 

디딤돌 대출은 전세가 아니라 집을 구입할 때 이용하는 대출이에요.

- 부부합산 소득 8,500만원 이하

- 자산 4.88억원 이하

- 금리 2.65%~3.95%

- 대출한도 최대 4억원 전세 대신 내 집 마련을 꿈꾸는 분들에게 적합한 대출 상품이에요.

 


 

요약하자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어요!

신혼부부 전세대출을 고민 중이라면, 가장 먼저 조건 체크가 우선이에요.

내가 연소득 7,500만 원 이하인지, 자산이 기준을 넘지 않는지, 무주택 세대주인지부터 확인하세요.

그다음엔 버팀목 vs 신혼부부 전용 대출 중 선택인데, 둘 다 조건은 같지만 금리에서 차이가 있으니 꼼꼼히 비교하셔야 해요.

 

전세가 아닌 집 구매 계획이 있다면 디딤돌 대출도 고려해보세요. 마지막으로 꼭 기억할 건, 이 모든 건 ‘기준을 충족했을 때’만 가능한 혜택이란 점! 내 상황에 꼭 맞는 대출을 잘 선택해서 안정적인 신혼생활 시작하시길 응원할게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