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정보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이거 모르고 청약 넣으시면 큰일 납니다

by 깔롱뷰 2025. 4. 23.

요즘 청약이나 전세자금대출, 신혼부부 지원금 같은 정부정책 신청해보신 분들, 이런 문장 많이 보셨을 거예요.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130% 이하일 것” 이런 말이요. 근데 막상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 뭔지 정확히 모르겠고, 계산도 복잡하게 느껴지셨죠? 걱정 마세요. 오늘 이 글에서 이 개념,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그게 뭔가요?

쉽게 말씀드리면, 도시에서 일하는 사람들, 즉 도시 근로자들이 한 달에 평균적으로 얼마를 버는지를 통계로 낸 수치예요.

이건 농촌이나 읍·면 지역은 빠지고 ‘도시 지역에 사는 근로자들’만 포함되기 때문에 전국 평균보다 조금 더 높은 편이에요.

 


 

왜 이렇게 자주 보게 되죠?

정부에서 진행하는 각종 주거지원사업이나 청약, 신혼희망타운, 전세자금대출 등에서 이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조건을 판단하거든요. 맞벌이 가정의 경우엔 기준이 200%까지 올라가기도 하고요.

 


 

그럼 어디서 확인하나요?

KOSIS 국가통계포털이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검색창에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라고 입력하면 관련 통계가 바로 나와요. 원하는 연도와 가구원 수를 선택하면 확인할 수 있고요, 월 기준 금액이 바로 보이지 않는 경우엔 연간 금액을 12로 나눠 계산하셔도 됩니다.

 


 

2024년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요?

  • 1인 가구: 약 3,598,164원
  • 2인 가구: 약 5,477,003원
  • 3인 가구: 약 7,626,973원
  • 4인 가구: 약 8,578,088원

이 수치를 기준으로 130%, 150%, 200%를 계산하려면 간단해요. 해당 금액에 1.3이나 2를 곱하시면 바로 확인 가능해요. 예를 들어 2인 가구의 130% 기준은 약 7,120,104원이 되는 거죠.

 


 

내가 지금 뭘 해야 하냐고요?

가장 먼저 하셔야 할 건 내 가구원 수에 맞는 기준금액을 확인하고, 내가 실제로 벌고 있는 소득이 그 기준보다 적은지를 비교해보는 거예요. 맞벌이라면 두 사람의 소득을 합쳐서 비교하셔야 해요.

 


 

놓치기 쉬운 포인트!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단순히 청약만 관련된 게 아니라 전세자금대출, 청년 월세지원, 무주택자 지원금, 육아지원금 등 다양한 정책에서 활용돼요. 그리고 가구원 수가 늘어나면 기준도 바뀌기 때문에 혼자 살다가 결혼하거나 아이가 생기면 반드시 다시 확인하셔야 해요.

 


 

한줄 정리!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정부정책 신청 시 자격을 좌우하는 아주 중요한 기준입니다. KOSIS에서 매년 확인 가능하며, 본인 소득과 비교해 자격 여부를 체크하셔야 손해 보지 않아요. 한 번만 알고 넘어가면 앞으로 청약할 때 훨씬 수월하실 거예요. 모르고 넘어가면 탈락, 알고 준비하면 당첨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