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정보

아파트 재산세 계산기 및 납부기간

by 깔롱뷰 2025. 1. 6.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재산세를 내야 하잖아요?

근데 막상 계산 방법이나 납부 시기를 잘 모르겠다는 분들 많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재산세 납부 일정과 계산 방법을 쉽고 편하게 풀어볼게요.

끝까지 읽으시면 "아, 이거 별거 아니네!" 하실 거예요.

 

재산세 납부 일정

 

 

 

재산세는 1년에 두 번 나눠서 납부해야 돼요. 정확한 납부 일정은 이렇습니다:

  • 1차 납부: 7월 16일 ~ 7월 31일
  • 2차 납부: 9월 16일 ~ 9월 30일

 

 

납부 기한을 넘기면 3% 가산세가 붙고, 계속 연체하면 매달 0.75%씩 추가 부담이 생겨요.

늦으면 늦을수록 손해니까 꼭 기한 안에 납부하세요!

 

 

재산세 계산법

 

 

 

재산세 계산은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이루어져요. 공시가격은 매년 정부가 발표하는 부동산 가격인데, 여기서부터 세금이 결정되죠. 계산 과정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1.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 공시가격의 60%를 기준으로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2.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0.1%~0.4%의 세율을 적용해 세액을 산출합니다.
  3. 부가세 추가: 계산된 세액에 지역자원시설세, 도시세(해당 지역일 경우), 지방교육세(세액의 20%)를 추가합니다.

 

특별 혜택과 납부 유예

 

 

 

다행히도 몇 가지 감면 혜택과 납부 유예 제도가 있어요. 조건을 잘 확인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답니다:

  • 1가구 1주택: 공시가격 9억 원 이하일 경우 0.05%의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 세액 상한제: 전년도 세금의 105~130%를 넘지 않도록 제한됩니다.
  • 납부 유예: 만 60세 이상이거나 5년 이상 장기 보유한 경우, 조건에 따라 납부를 상속, 증여, 양도 시점까지 유예할 수 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추가 팁

 

 

 

  • 공시가격 확인: 국토교통부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매년 4월에 공개되는 공시가격을 확인하세요.
  • 온라인 납부: 위택스(Witax)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하면 계산과 납부가 훨씬 간편해요.
  • 지역별 비교: 같은 공시가격이라도 지역에 따라 세율이 달라질 수 있으니 꼼꼼히 비교하세요.

 

한눈에 보는 요약

 

 

 

재산세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몇 가지만 알면 간단해요:

  1. 1차 납부는 7월, 2차 납부는 9월입니다.
  2. 공시가격의 60%를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해요.
  3. 1가구 1주택 소유자나 장기 보유자는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공시가격을 확인하고,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하면 더 편리해요.

재산세를 잘 관리하면 불필요한 부담을 줄이고, 절세도 가능하답니다. 지금 바로 공시가격부터 확인하고 대비해 보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