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정보

실업급여 조건? 자진퇴사도 받을 수 있다고?! 퇴사 전 꼭 알아야 할 팩트!

by 깔롱뷰 2025. 7. 28.
반응형
목차

1.실업급여 받으려면 이건 꼭 알고 있어야 해

2. 자진퇴사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는 경우?

3. 권고사직이면 99% 가능!

4. 실업급여 받으려면 이절차도 중요!

5. 한눈에보는 실업급여 조건

 

혹시 너도 “나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어? 아마 퇴사를 앞두고 있거나 고민 중이라면 한 번쯤은 검색해봤을 거야. 실업급여라는 게 단순한 생계지원이 아니라, 다음 직장을 준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니까 진짜 중요한 제도야.

근데 대부분 ‘자진퇴사면 못 받는다’고 알고 있더라? 물론 일반적인 자진퇴사는 어려워. 하지만!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자진퇴사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어. 오늘은 실업급여 조건부터 자진퇴사 실업급여, 권고사직 실업급여까지 싹 정리해줄게.

실업급여 받으려면 이건 꼭 알고 있어야 해
  • 고용보험 가입되어 있어야 해
  • 최근 18개월 중 180일 이상 근무했어야 해
  • 비자발적인 퇴사여야 해 (단, 예외 있음)

여기서 180일 기준은 단순히 ‘출근한 날’만 보는 게 아니야! 유급휴가, 병가(유급), 근로자의 날도 포함이야. 그래서 생각보다 금방 채워질 수도 있어.

자진퇴사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는 경우?

자진퇴사하면 무조건 안 된다고? 그건 아니야! 아래 상황에 해당되면 정당한 자발적 이직으로 인정돼서 실업급여 받을 수 있어.

  • 몸이 아파서 더 이상 일을 못 할 정도인 경우
  • 회사 위치가 바뀌어서 출퇴근이 너무 오래 걸리는 경우 (왕복 3시간 이상)
  • 직장 내 괴롭힘, 차별, 성희롱 등을 당한 경우
  • 임금이 밀리거나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경우
  • 가족 간호 때문에 일을 그만둘 수밖에 없는 경우

이런 경우에는 고용센터에 퇴사 이유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해. 예를 들면 진단서, 녹취록, 임금명세서 같은 것들! 준비만 잘 하면 자진퇴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어.

권고사직이면 실업급여 99% 가능!

권고사직 실업급여는 거의 대부분 받을 수 있어. 왜냐면 회사가 먼저 나가달라고 한 거니까 비자발적 퇴사로 인정돼. 근데 여기서 주의할 점 하나!

  • 그냥 “권고사직”이라고 말로만 하는 게 아니라, 이직확인서에 사유가 명확하게 적혀 있어야 해
  • 내가 잘못해서(예: 폭행, 횡령 등) 퇴사한 거라면 실업급여 안 나올 수도 있어

그래서 퇴사할 땐 인사팀이랑 잘 이야기해서 퇴사 사유를 정확히 정리하고 이직확인서 꼭 챙겨야 해!

실업급여 받으려면 이 절차도 중요!
  1. 퇴사 후 14일 이내 고용센터 가서 구직신청 하기
  2. 2주마다 실업인정 받기 (구직활동 증명자료 제출해야 해)
  3. 계속해서 일할 의지와 능력이 있다는 걸 보여줘야 해

실업급여는 말 그대로 ‘구직 활동’을 하는 사람을 위한 제도야. “잠깐 쉬자~” 이런 마음이면 대상이 안 될 수도 있어. 그래서 진짜 구직 의지가 있다는 걸 꾸준히 보여줘야 해!

한눈에 보는 실업급여 조건
조건 설명
고용보험 가입 실업급여 받으려면 무조건 가입되어 있어야 해
180일 이상 근무 최근 18개월 기준, 유급 포함해서 180일 이상
비자발적 퇴사 자발적이라도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예외 인정!
구직활동 실업인정 받고, 구직 의지 보여야 수급 가능

실업급여 조건, 자진퇴사 실업급여, 권고사직 실업급여… 이 세 가지 제대로 알고 있으면 퇴사 후에도 불안할 게 없어. 실업급여는 나중을 위한 준비 시간이고, 정부가 도와주는 든든한 제도야.

 

중요한 건 내가 받을 수 있는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대로 확인하는 거야. 괜히 놓치고 후회하지 말고, 퇴사 전에 꼼꼼하게 준비하자! 누구보다 나를 위해 챙겨야 할 건 바로 실업급여 조건이니까! 👊

반응형